워드프레스 기본 세팅 및 필수 플러그인
워드프레스 기본 세팅 그리고 필수 플로그인에 대한 정보입니다. 워드프레스 기본 세팅이야 공식처럼 정해져 있는 부분이겠으나, 플러그인은 주관적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어떤 이가 좋다고 하는 플로그인이 내게는 불필요 할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플러그인이 내게는 꼭 필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기본 세팅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막막했던 기억이 납니다. 불과 1년 전 이야기입니다. 구글링을 통해 확인한 기본 세팅 방법 또한 중구난방이었습니다. 알고 보면 다 불필요하고 몇 가지만 손을 보면 되는데 말입니다. 그 몇 가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설정 부분
1. 대시보드 설정–일반을 클릭합니다.
- 사이트 제목 : 블로그나 홈페이지 주제를 말합니다. 이 제목에 의해 어떤 성격의 사이트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태그라인 : 사이트 제목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간결하고 함축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길게 되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의 문제가 됩니다.
- 사이트 언어 : 영어가 편하신 분들은 그냥 두어도 되지만, 한국어를 설정하는 것이 편할 것입니다.
- 시간대 : 본인의 포스팅을 볼 대상이 어디냐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서울을 선택합니다.
- 날짜 표시 형식 : 어떤 것을 선택하든 상관없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년월일’방식인 첫번째가 무난할 것 같습니다.
- 시간 표시 형식 : 많이 쓸 일은 없으나, 우리 실정에 맞게 설정하려면 ‘사용자 정의’에서 ‘a g:i’로 맞추면 ‘오전 9시 10분’ 형식으로 보여집니다.
- 모두 설정을 마쳤다면 반드시 변경사항 저장을 클릭해야 합니다.
2. 대시보드 설정-읽기
- 홈페이지 표시 : 단일 페이지 블로그일 경우 최신글, 홈페이지나 메인 페이지를 별도로 운영할 경우 정적인 페이지를 선택합니다.
3. 대시보드 설정-토론
- 이 부분 중 글에 대한 댓글을 허용할 것인지 차단할 것인지 설정 부분만 보겠습니다.
- 추세는 댓글을 차단하고 별도 문의 게시판을 활용하는 편입니다. 댓글 허용과 차단에는 일장 일단이 있습니다. 소통을 중시한다면 그대로 두면 되지만, 차단을 원한다면 ‘글에 링크한 모든 블로그에 알림 시도’, ‘새 글에서 다른 블로그로부터 링크 알림(핑백과 트랙백) 허용하기’, ‘ 새 글에 사용자가 댓글달기 허용’부분을 해제합니다.
- 댓글을 차단하는 이유는 각종 스팸성 글 때문인데, 이러한 글이 한 번 달리기 시작하면 감당이 되지 않을 정도입니다.
4. 대시보드 설정-고유주소
- 고유주소 구조 : 고유주소란 글 제목 표시 방식이라 보면 됩니다. ‘요일과 이름’, ‘달과 이름’, ‘숫자’, ‘글 이름’, ‘사용자 정의 구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숫자나 글 이름을 많이 사용합니다.
- 티스토리가 대표적으로 숫자로 쓰이는 경우입니다. 대세는 SEO측면에 유리하다는 이유로 ‘글 이름‘ 선택입니다.
전문적인 설정이 아닌 워드프레스 기본 세팅은 이 정도면 될 것 같습니다.
사용자 부분
1. 대시보드 사용자-프로필
- 새 비밀번호 : 워드프레스 운영자 로그인 비밀번호를 변경할 때 이용합니다. 비밀번호는 ‘숫자+문자+특수기호’를 섞어 어렵게 만드는 것이 좋다는 것은 모두 아실 것입니다. 비밀번호 변경은 자주 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6개월에 한 번씩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필수 플러그인
랭크매스(Rank Math)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SEO 관련 플로그인은 Yoast SEO 플러그인이며, 다음으로 All in One SEO 플러그인일 것입니다. SEO 분야에 자리잡은 지 가장 오래된 플러그인은 Yoast SEO입니다.
랭크매스(Rank Math)는 후발 주자로 볼 수 있는데, 무섭게 치고 올라가는 추세입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덜 복잡하고 요스트나 올인원에서 유료화된 기능들이 일부 무료로 쓸 수 있다는 것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요스트, 올인원, 랭크매스 중 하나는 사용해야 합니다. 글 쓰기와 SEO 관련 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잡아주기 때문입니다.
랭크메스는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 대단히 편하게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랭크매스를 추천하는 이유입니다. 후에 기본적인 사용방법에 대한 포스팅은 별도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Post Views Counter
이 플러그인은 특정 포스팅의 방문자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붉은 박스에 나타난 것처럼 ‘가비아 낙장 도메인 싸게 사는 방법’ 조회수가 14회로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많은 글 중에 어떤 글의 조회수가 높은 지를 파악해 집중 공략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Post Views Counter 플러그인 설정 방법에 대해 이 장에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아주 단순하기 때문에 구글링을 통해 확인하시면 될 것입니다.
Yet Another Related Posts Plugin (YARPP)
YARPP플러그인은 글 하단에 이전 글 표시 용도로 사용합니다. 어떤 글을 읽었을 때 그 내용과 연관되거나, 새로운 내용을 보여줌으로써 방문자를 보다 오랜 시간 사이트에 머물 수 있게 해 줍니다. 썸네일까지 표시하면 시각적 효과가 더 클 수 있습니다.

LuckyWP Table of Contents
자동으로 글 목차를 생성해 주는 플러그인입니다. 비슷한 것으로 ‘쉬운목차’플러그인도 있지만, 저는 위 플러그인인 익숙하기 때문에 쓰고 있습니다.
랭크매스에서도 목차를 지원하지만 좀 엉성한 편입니다. 이 목차 설정하는 방법 또한 대단히 간단하기 때문에 구글 검색을 통해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플러그인을 무분별하게 설치하게 되면 사이트가 느려지게 됩니다. 반드시 필요한 플로그인만 용도가 중복되지 않도록 유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워드프레스 기본 세팅 그리고 필수 플로그인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